우리나라는 IT 강국입니다. IT는 4차 산업혁명 사회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필수로 알아야 하는 기술입니다. 즉 선택이 아니고 필수 사항입니다.
오늘은 IT란 무엇이고 IT를 알아야 하는 이유를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IT란
IT란 Information(정보) Technology(기술)의 합성어로 4차 산업혁명의 기반인 무형 및 유형 기술입니다.
즉 현재 사용하는 인터넷 통신망, 멀티미디어, 방송,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전기 통신 등을 다양한 분야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서 정보 및 데이터에 관련된 모든 기술을 말합니다.
IT 역사
- 19세기 후반 : 19세기 후반 전신기 발명으로 시작
- 20세기 : 인터넷, 컴퓨터 등장으로 발전. IT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정보 저장 및 전송, 조작) 바꾸어서 부름
- 21세기 : 스마트폰 등장으로 급격한 성장, IOT(Internet of Thing) 기술(클라우드,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IOE(Internet of Everything) 기술(사물 인터넷, 인공지능) 등 새로운 기술 등장
IT는 각 세기 기술의 특징을 반영하여 ICT, IOT, TOE 등 분류를 하고 있지만 이 모든 것을 통합하고 있는 기술입니다.
IT 구성 요소
IT는 크게 4가지(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데이터) 요소로 구성이 됩니다.
- 하드웨어 : 정보처리 장치로 서버, 컴퓨터, 스마트폰 등을 말합니다.
-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의 정보들을 운영하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래밍 언어 등을 말합니다.
- 네트워크 : 정보 통신망으로 인터넷, 랜, 와이파이 등을 말합니다.
- 데이터 : 이미지, 텍스트, 영상 등의 정보를 말합니다.
IT 중요성
IT는 정보 처리 능력 향상 및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고, 생산성을 높여 경쟁력 강화에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사회 발전과 경제 성장에 필수적인 역할 하는 기술입니다.
IT기술은 4차 산업혁명의 기반이 되고 미래 생산자인 우리에게 기회를 부여할 것입니다.
IT 주요 기술
IOT(Internet of Thing)
ICT는 우리가 사용하는 사물 등에 작은 칩을 장착시켜 인터넷이 가능하게 하는 ‘사물 인터넷’을 뜻합니다.
쉽게 말해 스마트폰 등을 말합니다.
20세기에 나온 핸드폰은 전화와 문자만 가능했지만 핸드폰에 작은 칩을 삽입시켜 인터넷을 가능한 스마트폰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사물 인터넷이라 부릅니다.
현재는 이러한 사물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보다 쉽게 모으고 클라우드 시스템 사용하여 빅데이터 변경합니다.
그 후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여 정보를 분석하여 쳇 GPT 및 바드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IOT의 작동 원리는 사물에 붙어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 움직임, 이미지, 텍스트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와이파이 나 인터넷 등 네트워크로 데이터 플랫폼을 전송하여 데이터를 저장, 분석, 관리하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 공급해 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스마트 홈, 스마트 농업, 스마트 팩토리 등에 실제로 사용을 하고 있고, 지속적으로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IOE(Internet of Everything)
IOE는 IOT(사물인터넷)을 포함한 포괄적인 기술입니다.
쉽게 말해 IOT 상위 버전으로 사물뿐만 아니라 사람, 환경, 데이터 등 세상에 모든 것에 연결하는 기술 말합니다.
IOE 기술은 현재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가전제품, 자동차 및 소셜 미디어, 온라인 활동, 빅데이터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을 통하여 스마트 시티,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홈, 스마트 의료, 스마트 교육 등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시설의 기반이 될 것입니다.
IOE는 현재 초기 단계이지만 앞으로 우리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IT를 알아야 하는 이유
4차 산업혁명에 들어오면서 우리들은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가 되고 있습니다. 즉 생산자로서 IT가 무엇인지 앞으로 어떠한 기술이 나오는지 알아야 합니다.
우리가 생산자?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 것입니다.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소셜 미디어 SNS 및 YOUTUBE 등 아무 생각 없이 찍어 올리는 이미지, 텍스트, 영상 등 이러한 모든 데이터들이 바로 우리가 생산하는 콘텐츠이기 때문에 우리가 생산자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쉬운 예를 들어서 쳇 GPT 잘 사용하는 사람과 쳇 GPT 아예 모르는 사람이 대학교 과제를 한다고 생각해 보면, 쳇 GPT 잘 사용하는 사람들은 쳇GPT에게 프롬프트 입력하여 과제를 쉽게 해결을 할 것입니다.
하지만 쳇 GPT 모르는 사람은 옛날 방식대로 책 등 자료를 일일이 다 찾아보고 과제를 할 것입니다.
여기서 쳇 GPT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에게는 ‘시간’이라는 큰 차이가 생길 것입니다.
4차 산업혁명에서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등으로 인하여 발전 속도가 엄청 빠를 것입니다.
시간은 기다려 주지 않습니다.
우리가 현재보다 더 낳은 삶을 살기 위해서는 새롭게 나오는 기술들을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우리에게 주어지는 기회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치며
오늘은 IT란 무엇이고 IT를 알아야 하는 이유를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 사회는 더욱 빠른 발전 속도로, 새로운 직업이 생기고 사라질 것입니다.
이로 인하여 큰 빈부격차가 생겨 날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계속 발전하는 기술에 대해 알아야 하고 그 지식을 잘 사용을 할 줄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우리에게 기회가 올 것이고, 현재보다 보다 나은 미래를 만들어 갈 수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